6/18/2021

RG351 game operation key

                                              Part of the RG351 (game machine) manual

- Game operation

R3 + L2: Fast forward (switch)

R3 + R1: Save state

R3 + L1: Load state

R3 + direction key right: Status memory card slot+

R3 + direction key: Status memory card slot-

R3 + R2: Show FPS

R3 + direction key: Increase volume

R3 + arrow down: Reduce the volume

R3+L3: Bring up the simulator menu

A + START: Stand-alone simulator forced back combination button

Power: Press and hold for 1.5 seconds, the screen will reset or light up; after a long press for 3 seconds, release it and turn off the machine.


-Charging function

5V2A Charging function

The standard package is equipped with a 2-core TYPE C charging cable (Only 5V2A can be used for charging, and data transmission is not allowed). plug in the charging cable, the game console will enter the charging state, the yellow LED light will light up, and the light will go out. When operating normally, the green LED light will be on; when the battery is low, the green light will turn red. 



6/12/2021

고전 게임 잘 안될 때 윈도10 설정 방법 (Example: Prototype)

 

오래 전에 노트북으로 꾸역꾸역 하다가 잦은 렉과 3D의 어지러움으로 엔딩을 보지 못한 Prototype!! 데스크탑도 맞추고 게임패드도 있어 다시해보려고 하니 윈도10에서 실행이 되지 않는다. 구글링으로 해결한 김에 다른 고전 게임을 해결하였던 설정 방법들에 내용까지 기억을 더듬어서 정리해 본다. 

                                       Prototype 게임 타이틀 이미지


가. 다이렉트X 와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게임이 제작될 때의 환경이면 좋겠으나 하드웨어도 많이 바뀌고 그 때와 동일한 환경을 맞추기는 어렵다. 그래도 윈도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들은 업데이트하면 대부분 호환이 잘 됨.

  - 다이렉트X : 인터넷 검색

  - 그래픽 카드 : 윈도10에서 자동으로 잡아주면 NVIDIA Geforce experience 프로그램 내에서 업데이트, 또는 3Dchip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검색으로 수동 설치


나. 호환성 모드 변경

  윈도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전 윈도 버전 환경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램들과 호환성을 보완하기 위한 설정

  - 실행 아이콘 우클릭 -> 속성 -> 호환성 탭 -> 호환 모드 Window 7 등

 

다. 프로그램에서 호환 가능한 CPU 코어 수 제한

  프로그래밍 할 시 CPU 코어 수가 요즘처럼 많아질 것을 고려하지 못해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프로그램 실행 (실행조자 안되면 설정 안됨) -> 윈도 작업관리자 -> 세부정보 탭 -> 해당 프로그램 우클릭 -> 선호도 설정 -> 실행할 CPU 프로세서 8 개 이하로 체크 후 확인

    (윈도 재시작하면 초기화됨)

  - WindowexeProcessPriority 프로그램 사용하여 CPU 제한하기

    (https://blog.naver.com/windowexe)


라. CPU 멀티 스레딩 관련 기능 끄기

  CPU, OS, 그래픽 관련하여 프로그램 제작 시점 이후 나온 새로운 기술들은 다 의심해 봐야함. 

  1. 윈도 재시작 

  2. Bios 설정 진입 (ASUS : F2키) (AMD CPU)

  3. 고급 탭 -> CPU 구성에서 기능들 on / off

    - PSS Support     [Enabled]  그대로

       (CPU 전력 절약 기능)

    - Nx mode         [Enabled]   그대로

      (CPU 관련 보안 기능)

    - SVM mode       [비활성화]  그대로

      가상 CPU 사용??  (가상 머신(블루스택, vm웨어 등 사용에 필요하다는 듯..)

     - SMT mode      [자동화]   ->   [비활성화]

       인텔의 하이퍼 스레딩과 비슷한 가상 코어 기술

       이 기능 끄면 12 core 에서 6 core 로 감소하였음

    - Core Leveling Mode  [Automatic mode]  그대로

      CPU 코어 수 제한


마. 윈도 투명 색상 표현 끄기

    xp 이전 출시된 게임에서 투명 표현 기능 끄니 호환되는 프로그램이 있었음. 




※. 본인 컴퓨터에서는 SMT mode만 꺼줘도 Prototype 게임 잘되고 있음.